미환급금 찾기 통합서비스 환급 가능한 은행
미환급금 찾기 통합서비스 환급 가능한 은행

 

 

정부24(구 민원24)에 들어가서 금융인증서로 로그인하여 미수령 환급금을 조회할 수도 있지만, 조금 더 빠른 환급금 조회방법으로 미환급금 찾기 통합서비스로 들어가서 조회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는 미환급금 찾기 통합서비스에 대해서 공유하도록 하겠습니다.

검색사이트에서 미환급금 찾기 통합서비스를 검색합니다.

 

1. 미환급금 찾기 통합서비스의 서비스 이용절차가 어떻게 되나요?

통합조회-유무 확인 결과 확인-상세내역 조회-환급신청-환금 신청 완료의 순서로 진행됩니다.

상세내역 조회는 돌려받을 미환급금이 존재할 경우 조회가 가능합니다.

 

2. 미환급금 찾기 통합서비스에서 인증서가 필요한가요?

미환급금 찾기 통합서비스는 따로 로그인을 할 필요 없이, 이름과 주민등록번호만으로 미환급금 유무 확인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돌려받을 미환급금이 존재한다면 상세내역 조회를 하거나 환급신청을 할 때 인증서가 필요합니다.

 

3. 환급 가능한 은행은 어디인가요?

2012년 2월 24일 자로 공개된 자료입니다.

자료가 업데이트되면 이 페이지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현재 시중은행 21개를 대상으로 환급이 가능합니다.

아래에서 본인이 사용할 은행이 있는지 확인해 보세요.

 

산업은행 / 기업은행 / 국민은행 / 외환은행 / 농협중앙회(농협회원조합) / 우리은행 / SC제일은행 / 씨티은행 / 하나은행 / 신한은행 / 수협중앙회 / 대구은행 / 부산은행 / 광주은행 / 제주은행 / 전북은행 / 경남은행 / 우정사업본부 / 새마을금고중앙회 / 신용협동조합중앙회 / 상호저축은행중앙회 입니다.

 

 

당연한 말이지만, 미환급금은 본인 명의의 계좌로만 환급이 가능합니다.

개인이나 개인사업자의 경우 본인 명의의 계좌여야 하고, 법인사업자의 경우에는 법인명의의 계좌로 신청하셔야 합니다.

 

또한, 예금주명이 10자리를 벗어나면 각각의 미환급금별 소관부처를 통해 안내를 따로 받아야 한다고 합니다.

예금주명이 10자리 이내인지 확인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환급신청 가능 시간은 오전 7시에서 오후 11시 사이입니다.

이는 계좌 확인이 가능한 시간이 오전 7시부터 오후 11시까지이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통신비 미환급금의 조회 같은 경우 오전 9시부터 가능합니다.

그러니 자신이 조회를 원하는 미환급금 조회시간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지금까지 미환급금 찾기 통합서비스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당신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아래 글은 함께 읽으면 도움이 되는 정보가 공유되어 있는 포스팅입니다.

 

통신비 미환급금 조회하는 방법 : 정부24(구 민원24)

 

통신비 미환급금 조회하는 방법 : 정부24(구 민원24)

통신비 미환급금이란, 유선이나 무선으로 통신사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람이 대상입니다. 가입자가 사용하던 서비스의 번호이동이나 계약해지를 하면서 발생합니다. 통신비에 해당하는 미환

anjaeyeon.com

농협 금융인증서 발급방법 : 모바일 버전(2021)

 

농협 금융인증서 발급방법 : 모바일 버전(2021)

요즘 금융인증서를 요구하는 곳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금융인증서란 금융결제원의 클라우드에 인증서를 보관하여 그 인증서를 자유롭게 이용하는 인증 서비스입니다. 그래서 간편하게 농협의

anjaeyeon.com

금융인증서와 공동인증서(구 공인인증서) 차이 (2021)

 

금융인증서와 공동인증서(구 공인인증서) 차이 (2021)

공인인증서와 공동인증서 그리고 금융인증서의 차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단어도 비슷비슷해서 많이 헷갈립니다. 이 글을 읽고 나면 알 수 있는 것 공인인증서와 공동인증서의 차이를 알

anjaeyeon.com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